슬관절 신전하고 한쪽 고관절 회선(extended knee, Single Hip Circumduction)
[그림58]
이 운동은 누워서 다리를 사용하는 운동들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슬관절 신전하고 한쪽 고관절 회선(extended knee, single hip circumduction)'의 주목적도,
다른 운동들과 마찬가지로 근육의 협응(coordination)을 도모하는 것이다.
즉 중력(gravity)에 저항하여 자세를 바르게 잡아 주는 근육들인
흉추부 척주기립근(thoracic part of erector spinae)과 복근(abdominal muscles)
그리고 둔근(gluteal muscles)의 협응력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특히 '이 세 근육들의 근수축(muscle contraction)을 유지하면서,
다리의 움직임에 관여하는 모든 근육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몸소 습득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운동 방법:
바르게 눕는다.
외복사근(external abdominal obliques)과 복횡근(transversus abdominis) 그리고 둔근의 수축으로
골반의 후방경사(posterior tilt)를 증가시킴으로써 허리를 편평하게 만든다.
골반의 후방경사가 마지막에 다다르면 이 힘을 유지하면서
두 다리를 슬관절이 신전된 상태(extended knee)로 바닥으로부터 조금만 들어 올린다.
이러한 상태에서 양쪽 고관절(both hip joint)을 한 번에 한쪽씩 번갈아가며 회선(circumduction)한다.
- 주의 사항:
두 다리를 바닥에서 들어 올릴 때에 복근과 둔근의 수축을 유지함으로써,
요추(lumbar vertebrae)가 신전(extension)되지 않도록 즉 허리가 바닥에서 들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특히 고관절을 회선할 때에 요추가 신전되지 않도록 그리고 골반이 옆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고관절을 회선 시 외회전(external rotation)이 함께 일어나지 않도록
즉 발끝이 항상 천장을 향하도록 주의한다.
마지막으로, 복근을 수축할 때 흉추(thoracic vertebrae)가 굴곡(flexion)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치료적 운동(Therapeutic Exerci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관절 신전하고 양쪽 고관절 굴곡(extended knee, Both Hip Flexion) (0) | 2014.06.29 |
---|---|
슬관절 신전하고 고관절 교차 굴곡(extended knee, Cross Hip Flexion) (0) | 2014.06.29 |
슬관절 신전하고 양쪽 고관절 외전(extended knee, Both Hip Abduction) (0) | 2014.06.29 |
슬관절 신전하고 한쪽 고관절 외전(extended knee, Single Hip Abduction) (0) | 2014.06.29 |
슬관절 신전하고 양쪽 고관절 회선(extended knee, Both Hip Circumduction) (0) | 201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