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적 운동(therapeutic exercise)을 하고 난 후 교각 운동(bridge exercise)을 해 보아도 요추부 척주기립근(lumbar part of erector spinae)과 슬괵근(hamstring)이 과도하게 활성화됩니다.
교각 운동(bridge exercise) 시에
요추부 척주기립근(lumbar part of erector spinae)과 슬괵근(hamstring)이 과도하게 활성화된다면
치료적 운동(therapeutic exercise)을 통하여
요추부 척주기립근과 슬괵근의 활성도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실제로 치료적 운동을 하고 난 직후에 교각 운동을 다시 해 보면
요추부 척주기립근과 슬괵근의 활성도가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치료적 운동을 하고 난 후에 교각 운동을 해 보아도
여전히 요추부 척주기립근과 슬괵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복근(abdominal muscles)과 둔근(gluteal muscles)의 협응력(coordination)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는 사람들'이나
'사무직처럼 장시간을 앉아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장요근(iliopsoas)의 근긴장도(muscle tone)가 높아져 있는 상태에서
치료적 운동으로 복압(intra-abdominal pressure)을 증가시켰기 때문에
'장요근의 근긴장도가 더 증가'하게 되고,
결국 치료적 운동을 하고 난 후에도 '근육의 협응력이 효율적이지 못한 것'입니다."
전만증(lordosis)일 경우에는 이런 증상을 흔히 볼 수 있는데,
복압이 증가됨으로써 요추가 중립 자세로 되돌아오게 되면(when lumbar vertebrae return to neutral position by increased intra-abdominal pressure), 근긴장도가 높아서 팽팽한 상태인 장요근(tight iliopsoas caused by high muscle tone)이 더 팽팽해지기 때문입니다.
복근과 둔근의 협응력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사람들은
단순히 서 있기만 해도 '장요근의 근긴장도'가 쉽게 증가되며,
보행을 한다거나 장시간 동일한 자세로 앉아 있을 경우에는
그 정도가 더욱 심합니다.
장요근의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치료적 운동을 한다면
일부 운동들은 정확하게 시행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오히려 운동 전이나 운동 후에 통증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항상 주의해서 관찰해야 합니다.
치료적 운동을 하기 전에 장요근을 이완하면 이러한 증상들을 예방할 수 있으며,
만약 운동 후에 허리의 통증(lumbago)을 호소한다면 장요근을 이완시켜 통증을 가라 앉힐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