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제4부
* 본 강좌는 총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교정(adjustment)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의 이해
2.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용어, 변위 기재방법(LISTING), 원칙(rule)
3. 척추(vertebra)의 변위 기재방법(LISTING)
4. 골반(pelvis)의 변위 기재방법(LISTING)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제4부
골반(pelvis)의 변위 기재방법(LISTING)
관골(hip bone)의 LISTING은 후상장골극(posterior superior iliac spine)의 움직임에 따라서 명칭을 붙인다.
① 아래의 그림은 관골(hip bone)의 중립자세(neutral position)이다.
- 후상장골극(PSIS)과 전상장골극(ASIS)이 수평선상에 위치한다.
- 전상장골극(ASIS)과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수직선상에 위치한다.
② 아래의 그림은 관골의 AS(Anterior Superior)이다.
- 후상장골극(PSIS)이 전상장골극(ASIS) 보다 높게 위치한다.
- 전상장골극(ASIS)이 치골결합(symphysis pubis)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가 짧아진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가 짧아진다.
- 다리의 길이가 길어진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에서 관골(hip bone)이 천골(sacrum)에 대하여 하후방으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누워 있을 경우(supine position)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길어지고, 장골능(iliac crest)의 높이는 낮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피시술자의 자세에 따라서 '다리의 길이'나 '장골능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바닥에 발을 딛고 서게 되면, 길어진 다리로 인하여 장골능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다리를 쭉 펴고 앉게 될 경우(sitting position)에는 하후방으로 미끄러진 관골 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짧아진다.
이처럼, 누워 있을 때(supine position)와 서 있을 때(standing position) 그리고 다리를 쭉 펴고 앉아 있을 때(sitting position)에 '다리의 길이'나 '장골능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이 정상보다 적어진다.
- 후상장골극(PSIS)의 아래쪽을 촉진 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다.
③ 아래의 그림은 관골(hip bone)의 PI(Posterior Inferior)이다.
- 후상장골극(PSIS)이 전상장골극(ASIS) 보다 낮게 위치한다.
- 전상장골극(ASIS)이 치골결합(symphysis pubis) 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가 길어진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가 길어진다.
- 다리의 길이가 짧아진다.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에서 관골(hip bone)이 천골(sacrum)에 대하여 상전방으로 미끄러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따라서 누워 있을 경우(supine position)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짧아지고, 장골능(iliac crest)의 높이는 높아지는 것이다.
그러나 피시술자의 자세에 따라서 '다리의 길이'나 '장골능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바닥에 발을 딛고 서게 되면, 짧아진 다리로 인하여 장골능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다리를 쭉 펴고 앉게 될 경우(sitting position)에는 상전방으로 미끄러진 관골 때문에 '다리의 길이'가 반대편 다리보다 길어진다.
이처럼, 누워있을 때(supine position)와 서 있을 때(standing position) 그리고 앉아 있을 때(sitting position)에 '다리의 길이'나 '장골능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이 정상보다 과도해진다.
- 후상장골극(PSIS)의 위쪽을 촉진 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다.
④ 아래의 그림은 관골(hip bone)의 IN(INternal rotation)과 EX(EXternal rotation)이다.
IN과 EX의 표기가 잘못되었습니다. 왼쪽 무명골이 IN이고, 오른쪽 무명골이 EX입니다.
IN의 경우...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다.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길이가 짧아진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가 짧아진다.
- 다리의 길이가 길어진다.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이 정상보다 적어진다.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에서 멀어진다.
EX의 경우...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가 짧아진다.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길이가 길어진다.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가 길어진다.
- 다리의 길이가 짧아진다.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이 정상보다 과도해진다.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을 넘어간다.
- 후상장골극(PSIS)의 내측을 촉진 해 보면 부종(edematous)이 있을 수 있다.
※ 참고사항
- AS는 IN과 특징이 비슷하고, PI는 EX와 특징이 비슷하다.
- 'AS, PI'와 'IN, EX'가 복합적으로 생길 수 있다.
예) ASIN, ASEX, PIIN, PIEX
이러한 경우 각각의 특징들이 혼합되므로 AS(또는 PI), IN(또는 EX)의 각각의 움직임 정도에 따라서 그 특징들도 정도가 달라진다. 대부분 ASIN, PIEX로 혼합되어 나타난다.
★ 정리 ★
[AS]
-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 ↓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 ↓
- 다리의 길이 ↑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 ↓
- 부종(edematous)이 후상장골극(PSIS)의 아래쪽에 발생
[PI]
- 관골(hip bone)의 세로 길이 ↑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세로 길이 ↑
- 다리의 길이 ↓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 ↑
- 부종(edematous)이 후상장골극(PSIS)의 위쪽에 발생
[IN]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 ↑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길이 ↓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 ↓
- 다리의 길이 ↑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 ↓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에서 멀어짐.
[EX]
- 장골(ilium)의 가로 길이 ↓
- '후상장골극(PSIS)'과 '천골(sacrum)의 정중선' 사이의 길이 ↑
- 폐쇄공(obturator foramen)의 가로 길이 ↑
- 다리의 길이 ↓
- 요추(lumbar vertebrae)의 만곡 ↑
- 치골결합(symphysis pubis)이 정중선을 넘어감.
- 부종(edematous)이 후상장골극(PSIS)의 내측에 발생
⑤ 천골(sacrum)의 변위 기재방법(LISTING)
천골(sacrum)의 LISTING은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움직임이 아직 완전한 이론이 없어서 여기에서 기술하는 기재방법 외에도 다른 기재방법들이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천골(sacrum)의 기본적인 움직임에 입각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아래의 그림은 천골(sacrum)의 움직임을 표현한 것이다.
숙이기(nutation)의 경우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모양을 따라 움직이면서 천골기저부(sacral base)는 전하방으로 이동하고, 천골첨(sacral apex)은 후상방으로 이동한다.
들기(counter-nutation)의 경우 천장관절(sacroiliac joint)의 모양을 따라 움직이면서 천골기저부(sacral base)는 후상방으로 이동하고, 천골첨(sacral apex)은 전하방으로 이동한다.
LISTING은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명칭을 붙인다.
- [PS-R]: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오른쪽이 후상방(postero-superior)으로 변위됨.
- [PS-L]: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왼쪽이 후상방(postero-superior)으로 변위됨.
- [AI-R]: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오른쪽이 전하방(antero-inferior)으로 변위됨.
- [AI-L]: 천골기저부(sacral base)의 왼쪽이 전하방(antero-inferior)으로 변위됨.
이번 교정(adjustment)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강좌는 여기에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본 강좌는 카이로프랙틱의 원리를 파악하여 생체 역학을 좀 더 심도있게 공부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서 작성되었습니다.
'브레인피티(BrainPT)의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잘못된 호흡 방식'을 가르치고 있습니까? (0) | 2016.03.05 |
---|---|
치료적 마사지(therapeutic massage)의 기본 전제, "근육의 장력을 고려하라." (0) | 2016.02.23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제3부 (0) | 2016.01.27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제2부 (0) | 2016.01.26 |
카이로프랙틱(chiropractic) 제1부 (0) | 2016.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