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By Praisaeng, FreeDigitalPhotos.net>

 

 

입을 벌리고 닫을 때 사용하는 측두하악관절(temporomandibular joint)은

저작근(masticatory muscles)에 의해서 움직입니다.

 

측두하악관절을 움직이는 저작근은

측두근(temporalis), 교근(masseter), 외측익돌근(lateral pterygoid)

그리고 내측익돌근(medial pterygoid)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4가지 근육들 중에서도 외측익돌근이

측두하악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와

안면 비대칭(facial asymmetry)을 일으키는

핵심 근육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외측익돌근은 상두(superior head)와 하두(inferior head)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두는 관절원판(articular disc)의 움직임에 관여하고,

하두는 하악골(mandible)의 움직임에 관여합니다.

 

개구(opening the mouth) 시,

외측익돌근의 하두가 구심성 수축(concentric contraction)을 함으로써

하악골을 전하방(anteroinferior direction)으로 당겨 주며,

이와 함께 외측익돌근의 상두가 구심성 수축을 하여서

관절원판을 전상방(anterosuperior direction)으로 당겨 주는 것입니다.

 

이와는 반대 동작인 폐구(closing the mouth) 시에는

외측익돌근의 하두가 원심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을 함으로써,

'하악골이 본래(本來)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속도'를 조절해 주며,

이와 함께 외측익돌근의 상두가 원심성 수축을 하여서,

'관절원판이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속도'를 조절해 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양쪽 외측익돌근 중 한쪽만 구심성 수축을 한다면,

외측익돌근의 주행 방향 때문에, '구심성 수축을 하고 있는 외측익돌근이 위치한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하악골이 움직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오른쪽 외측익돌근이 구심성 수축을 하면 하악골이 왼쪽으로 이동되는 것입니다.

 

 

 

외측익돌근의 근긴장도(muscle tone)가 증가됨으로써 측두하악관절 장애나 안면 비대칭이 발생하게 되는데,

외측익돌근의 근긴장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외측익돌근의 근긴장도를 증가시키는 원인들 중 한 가지를 언급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만약에

"양쪽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이나

양쪽 견갑거근(levator scapula)의 근긴장도가 비대칭하다면,

 

이 근육들의 영향으로

'양쪽 측두근의 근긴장도'와 '양쪽 교근의 근긴장도'가 비대칭해집니다.

 

 

'양쪽 측두근과 양쪽 교근의 근긴장도가 비대칭한 상태'로 입을 벌리면,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측두근'과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교근' 때문에,

'이 근육들이 위치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있는 외측익돌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긴장(spasm)됩니다.

 

또한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측두근'과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교근'에 의해서,

'이 근육들이 위치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하악골의 이동이 일어나는데,

이로 인하여, '하악골이 움직인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한 외측익돌근이

짧아진 상태가 되어 긴장됩니다."

 

 

예를 들어서

'오른쪽 측두근과 오른쪽 교근의 근긴장도'가

'왼쪽 측두근과 왼쪽 교근의 근긴장도'보다 높다면,

하악골이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왼쪽 외측익돌근이 짧아진 상태가 되므로

쉽게 긴장되는 것입니다.

 

또한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오른쪽 측두근'과

'근긴장도가 증가되어 있는 오른쪽 교근'에 의하여

'개구 동작(opening the mouth)에 대한 저항력(resistance force)'이 제공되는데,

이로 인해 오른쪽 외측익돌근이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쉽게 긴장됩니다.

 

측두하악관절의 이상 증상은 그 원인이 매우 다양하지만,

결국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근골격계의 문제(musculoskeletal problems)가 공통적인 것이므로,

'근골격계의 정렬(alignment of musculoskeletal system)을 바르게 만들어 준다면,

측두하악관절과 관련된 이상 증상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Recent posts